도메인 할당해보기~
1. 가비아 or 도메인 할당 사이트에서 도메인 구매
2. 구매한 도메인을 복사해서 Route53에 동일하게 생성
3. 생성된 호스팅된 대시보드 결과 확인
4. 호스팅된 레코드에 NS를 구매한 도메인 사이트에 NS 설정
NS(Name Server)의 값/트래픽 라우팅 대상(=AWS의 각 NS들)에 생성한 도메인을 각각 지정하여 적용되도록 설정해야함
+ 설정할 때 해당 NS들의 끝의 .(점=루트경로를 뜻함)을 삭제하여 설정해야함
ns-124.awsdns-15.com. -> ns-124.awsdns-15.com
ns-1709.awsdns-21.co.uk. -> ns-1709.awsdns-21.co.uk
ns-890.awsdns-47.net. -> ns-890.awsdns-47.net
ns-1250.awsdns-28.org. -> ns-1250.awsdns-28.org
AWS의 NS들을 호스팅 해주는 업체의 NS를 수정하여 해당 도메인을 사용시 해당 NS로 돌아가게 해준다.
5. 네임서버(NS) 설정 후 nslookup 명령어를 통해 확인
등록 후 nslookup 명령어를 통해 등록 유무 확인(등록 소요시간 30분)
nslookup -type=ns [도메인]
등록 되기 전
등록 되기 후(8.8.8.8 구글의 ip주소)
6. A 레코드 생성하여 도메인과 EC2 웹서버 연결
curl 확인
도메인 확인(기존에 Apach 웹서버 세팅해놓은 곳)
'Cloud > Amazon Web 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DS] RDS 생성해보기 (0) | 2025.04.08 |
---|---|
[IAM] IAM 설정하기 (0) | 2025.04.08 |
[VPC] IPv4 주소 범위 설정 (0) | 2025.04.08 |
EC2 인스턴스 TimeZone 세팅 (0) | 2025.04.08 |
SSH Agent 와 SSH key로 ec2 접근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