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c Load Balancer 1. CLB 로드밸런서 생성 2. VPC와 AZ 선택 3. SG와 리스너와 인스턴스 설정 4. SSL 인증서 설정 5. 생성 후 DNS로 정상 동작 확인(CLB - Round-Robin 방식) https는 아직 접근 불가 5. Route53에서 CLB 레코드 할당6. 다시 접근 Network Load Balancer1. 생성2. 인스턴스 대상 등록 3. 대상 그룹 추가 및 리스너 추가 4. Route53에서 레코드 추가 5. 동작 확인(Hash 방식) Application Load Balancer1. 생성2. 상태 체크를 위한 80, 443 포트 사용 3. HTTPS 포트 및 대상 그룹 설정 4. 레코드 설정 5. 동작 확인alb의 default가 라운드 로빈 방..
1. 연결한 EC2 서버에 접근하여 DB Client 설치Client 패키지 설치 명령어sudo dnf install -y mariadb105 2. DB 접근mysql -h [엔드포인트] -u [DB유저] -pDB Master 계정과 패스워드 명령어에 추가패스워드 입력해도 연결이 안됨, vpc 설정이 필요mysql -h [엔드포인트] -u [DB유저] -p 3. RDS 생성시 VPC 새로 생성하였으나,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규칙은 생성하지 않아 편집 필요 4. 연결할 EC2의 프라이빗 IP를 ip a 명령어로 확인하여 인바운드 규칙에 적용5. 다시 설정 후 재접근하면 접근 가능DB Master 유저 대신 사용할 DB 유저 생성 SQL유저/PW 생성 SQL— CREATE USER 'wpuser'@'%' ..
IAM 설정하기1. Admin 이라는 EC2 최소 권한을 가진 그룹 생성EC2ReadOnlyAccess 권한 정책 만 적용 2. 사용자 생성사용자 이름이라는 ID와 자동 생성된 패스워드로 생성3. 콘솔 로그인 번호와 이름, 암호를 통해 로그인 실행최초 로그인 시 패스워드 변경 화면ec2 생성시 권한 정책 때문에 생성이 어려움4. 권한 정책 변경
도메인 할당해보기~1. 가비아 or 도메인 할당 사이트에서 도메인 구매2. 구매한 도메인을 복사해서 Route53에 동일하게 생성3. 생성된 호스팅된 대시보드 결과 확인4. 호스팅된 레코드에 NS를 구매한 도메인 사이트에 NS 설정NS(Name Server)의 값/트래픽 라우팅 대상(=AWS의 각 NS들)에 생성한 도메인을 각각 지정하여 적용되도록 설정해야함+ 설정할 때 해당 NS들의 끝의 .(점=루트경로를 뜻함)을 삭제하여 설정해야함ns-124.awsdns-15.com. -> ns-124.awsdns-15.comns-1709.awsdns-21.co.uk. -> ns-1709.awsdns-21.co.ukns-890.awsdns-47.net. -> ns-890.awsdns-47.netns-1250.awsd..
AWS VPC IPv4 주소 범위 설정1. VPC 생성10.0.0.0/16 범위의 IPv4 주소 범위 지정하여 VPC 생성 2. 서브넷 생성3. 인터넷 게이트 웨이 생성 후 VPC와 연동4. 라우팅 테이블과 VPC 연결된 상태 확인5. 새로 생성한 라우팅 테ㅣ블에 인터넷 게이트가 가능하도록 라우팅 설정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