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 Auto Scailing 해보기
1. EC2 CPU 사용량 확인해보기
[CPU 사용량 명령어]
top
2. 사전에 EC2 AMI 만들기
[EC2] > [인스턴스 선택] > [작업] > [이미지 및 템플릿] > [인스턴스에서 템플릿 생성]
[AMI 생성]
[ AMI 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 경우 해당 EC2 서버 기반으로 만든 AMI이므로 스냅샷으로 해당 EC2에 설치된 웹서버가 백업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생성한 AMI로 EC2 템플릿 만들기
[EC2] > [인스턴스] > [시작 템플릿]
[템플릿] > [이름 설정]
[템플릿] > [AMI 설정]
[템플릿] > [인스턴스 유형, 키 페어 설정]
[서브넷의 경우, Auto Scailing 에서 설정할 예정]
[생성 완료]
4. Auto Scaling Group 만들기
[1. 템플릿 선택]
[2. 네트워크 세팅 VPC, AZ, Subnet]
[3. 로드 밸런서 설정]
[Auto Scaling 에서 상태확인 으로 EC2 상태의 문제를 인식하고 다른 EC2 생성 및 문제가 되는 EC2 제거를 위한 해당 추가 상태 옵션 체크] - Elastic Load Balancer 상태 확인 켜기
[4. Group 크기]
[5. Amazon SNS 알림 설정]
[6. 태그 지정]
5. 생성 확인
[ASG]
[대상 그룹]
[인스턴스]
'Cloud > Amazon Web 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CL] 퍼블릭 과 프라이빗 구성 아키텍처(SG & NACL) (0) | 2025.04.23 |
---|---|
[CloudWatch] AutoScaling 동적 조정과 CloudWatch 연동 (0) | 2025.04.22 |
[CloudShell] CloudShell 업로드 기능으로 .tar 압축파일 업로드로 Index 파일 변경 (0) | 2025.04.22 |
[ALB] 로드밸런서와 HTTPS 사용 (0) | 2025.04.08 |
[ACM] 인증서(Certificate Manager) 만들어서 HTTPS 사용해보기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