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Scaling 동적 조정과 CloudWatch 연동
1. 동적 크기 조정 정책 생성
[인스턴스] > [Auto Scaling] > [해당 Auto Scaling 그룹 선택] > [동적 크기 조정 정책 생성]
단계 크기 조정 : 단계별로 크기를 지정하여 조정
단순 크기 조정 : 단순하게 정한 임계점에 따라 크기 조정 후 CloudWatch로 알림
2. CloudWatch 지표 생성
[CloudWatch] > [경보] > [경보 생성]
[해당 Auto Scaling Group 선택]
[지표 생성 후 임계값 정적 설정]
[조건 설정]
[기존 ASG 생성 시 지정한 SNS Confirm 알림 수락]
[CloudWatch SNS추가]
[SNS 설정 과 Auto Scaling 동적 크기 조정 정책 경보 설정 후 수행할 작업 설정하여 정책 생성 완료]
[용량 단위로 Scale Out 1개씩 추가]
3. Auto Scale In 동적 크기 조정 정책 생성
[Scale Out 과 동일하게 CPU 사용량으로 세팅 하고 임계값만 다르게 설정]
[경보가 총 2개 설정]
[최종 적으로 2개의 정책 설정]
4. SNS 알림 확인
일부러 최소 2개인 Auto Scaling 에서 한 EC2 를 Stop 시킬 경우,
ASG 에서 문제를 인지하여 문제가 된 EC2는 Draing 하고, 최소 용량 갯수를 채워 주기 위해 새로운 EC2 를 초기화 합니다.
HTTP 데몬 서버 Stop 명령어
: systemctl stop httpd
상태 확인 명령어
: systemctl status httpd
[백그라운드 CPU 사용량 증가시키기]
백그라운드에 yes라는 명령어 계속 실행
: yes > /dev/null &
CPU 사용량 확인
: top
[CloudWatch 에서 CPU 점유율 확인]
[ASG 동작 확인]
'Cloud > Amazon Web 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Front, S3] CloudFront CDN 퍼블릭 정적 웹 호스팅 (0) | 2025.04.23 |
---|---|
[NACL] 퍼블릭 과 프라이빗 구성 아키텍처(SG & NACL) (0) | 2025.04.23 |
[EC2] EC2 Auto Scailing 해보기 (0) | 2025.04.22 |
[CloudShell] CloudShell 업로드 기능으로 .tar 압축파일 업로드로 Index 파일 변경 (0) | 2025.04.22 |
[ALB] 로드밸런서와 HTTPS 사용 (0) | 2025.04.08 |